• HOME
창조경제 이스라엘에서 배운다

2020 HR 메가트렌드

  • 저자천성현 저
  • 출판사가디언
  • 출판년도2018년
  • ISBN9791189159009
  • 가격19,000원

- 소개

인구절벽, 인공지능, 빅데이터, 긱 이코노미의 탄생…
인사의 메가트렌드를 알아야 4차 산업혁명 시대의
새로운 HR 패러다임에 대비할 수 있다!

인구절벽과 인공지능이 몰고 온 인사 혁신,
4차 산업혁명에 대비한 인재 경영전략서!


인간이 소외되는 4차 산업혁명? 오히려 HR이 경영의 본질이 되는 시대다. 세계경제포럼은 앞으로 2년 후에 사라지는 일자리 수가 710만 개를 넘어서고, 새로 창출되는 일자리가 500만 개에 이를 것으로 발표했다. 고용과 노동계의 변화뿐만 아니라 채용, 교육훈련, 생산직 노무관리, 인사평가와 보상 등 HR 전반의 패러다임 혁명을 선언한 것이다. 

저자는 이 같은 상황에서 “4차 산업혁명을 맞이한 당신의 회사는 어떻게 인재를 고용하고 관리하는가?”라는 근본적인 질문을 던지며, HR 메가트렌드로 크게 다섯 가지를 꼽는다. ‘인구절벽과 세대교체’, ‘4차 산업혁명’, ‘저성장기’, ‘고용노동 규제 변화’, ‘HR부서 디지털화’가 그것이며, 이 책에서는 각각 한 장을 할애해 HR 메가트렌드를 규명하고, 그에 따른 경영 및 HR 이슈와 더불어 기업이 해결해야 할 과제를 제시한다. 

먼저 1장에서는 다양한 세대가 공존할 수 있는 인사관리의 필요성을 제시하며 수평조직과 스타트업 컬처의 활성화, 중장년 인력의 생산성을 높이는 방안, 신입사원 조기 전력화 등 구체적인 인사전략을 언급한다. 2장에서는 산업 4.0 시대의 일자리 변화, 즉 정보통신기술이 가져온 작업자에서 감독자로의 업무 변화에 대해 살핀다. 3장에서는 저성장 시대 인력계획과 구조조정 일상화와 통상 전문가의 육성 등 적정 인력 수립 방안을 밝힌다. 4장에서는 정부의 고용노동 정책과 규제에 대비한 사내 인사 노무제도와 협력적 노사관계 구축 방안을 알아본다. 임금체계 변화 방향성도 함께 제시한다. 5장에서는 디지털화에 따른 인사부서의 새로운 역할과 미래상을 모색한다. 

이 책은 삼성, GE, SK, 포스코, 아마존, 구글, 마이크로소프트 등 변화에 맞선 선진 기업의 파격적인 HR 혁신 사례를 총망라하며 인재 육성을 위한 근본적이고 확실한 로드맵을 제공한다. 인재를 어떻게 육성해야 할지 막막한 인사담당자나 관리자, CEO들에게 속 시원히 인적자원 관리전략을 알려준다.

- 목차

들어가며

제1장 인구절벽과 세대교체
 2020, 세대교체와 공존형 인사관리를 준비하라 
 일하고 싶은 기업, 갑의식 없는 신경영 브랜드 
 이중구조의 직급 문화와 동기부여 
 정년 연장, 중장년 직장인의 마음을 잡아라
 신입사원 채용과 조기 전력화 
 경력사원 핵심인재 채용 및 유지전략
 기업은 혁신 리더를 어떻게 육성하는가? 

제2장 4차 산업혁명과 HR
 산업 4.0 시대, 인간의 자리는 어디인가 
 스마트 환경에 따른 일하는 방식의 혁신 
 소프트 기술 대전환, 인재 육성 재편이 시작됐다 
 4차 산업혁명과 디지털 채용 
 개인화와 협업, 디지털 조직 혁명 
 인사고과의 종말과 성과관리 진화론 
 데이터 중심의 일하는 문화 확산 

제3장 저성장기 사람관리
 저성장기를 돌파하는 경영철학과 HR 전략 
 저성장 시대 인력계획과 적정 인력 수립 
 업무 몰입도를 높여 효율화를 추구하라 
 컬처 이노베이션 성공의 조건 
 구조조정의 늪을 헤쳐 나온 기업의 지혜 

제4장 고용노동 규제 변화와 HR
 임금은 어떻게 결정되어야 하는가 
 노동환경에 따른 조직문화 이슈와 대응법 
 전략적 인력 운영과 적정 인건비, 어떻게 관리할 것인가? 
 성과주의에서 유턴한 기업들, 왜? 

제5장 HR부서 디지털화
 긱 이코노미와 디지털 HR 
 핵심가치와 연계한 HR 시스템 설계 
 우리 기업 인사부서의 변천사와 과제 
 ‘HR’, 알파고에게 길을 묻다 

 참고문헌
트위터 페이스북 인스타그램

저장
    처음 목록 이전 목록 다음 목록 마지막 목록

    POSRI
    LOVE 지수

    POSRI LOVE

    39,693,044

    내가 본 자료

    /
    TOP 열기/닫기 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