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963년 조선 사업으로 시작한 싱가포르의 Sembcorp은 1995년 이후 IPP 사업에서 급성장하여 IPP 업계의 다윗으로 주목받고 있다. 본 보고서에서는 Semborp의 성장과정과 함께 3가지 성공비결에 대해 분석해 본다.
[목차]
1. Sembcorp은 어떤 회사인가?
2. Sembcorp의 IPP 사업 성장 과정
3. Sembcorp의 성공 비결
4. 시사점
[Executive Summary]
○ Sembcorp은 최근 16년 동안 발전용량이 14배 급증한 싱가포르의 IPP 기업으로 10.9GW의 발전설비를 7개국에서 운영 중
- 1963년 싱가포르에서 설립된 Sembcorp은 조선 사업으로 시작했으며, 현재는 IPP 사업, 도시개발과 함께 3개 사업군으로 구성
- IPP 사업은 1995년 시작 후 급성장하여 총 매출의 53%, 이익의 81%를 담당하고 있으며, 포트폴리오는 LNG 44%, 석탄 39%, 신재생 17%의 비중
○ 단계별 역량 및 지역 확장 전략 추진으로 성공적인 성장 결과 도출
- 먼저 자국에서 실적 및 역량 확보에 주력했으며, 이후 첫 해외 진출 국가인 베트남에서는 부족한 PQ 및 역량 보완을 위해 선진사인 BP와 조인트벤처(JV)를 구성해 사업 추진
- 2010년 이후에는 베트남 IPP 프로젝트의 실적을 활용해 중국, 인도 등 아시아 및 중동 등으로 지역 확장을 추진하면서 성장 본격화
○ ‘강한 내부역량 확보’, ‘그룹 역량의 효율적 활용’, ‘전략적 유연성’이 Sembcorp의 성공 비결
- (내부역량) 베테랑급 인력들이 보유한 풍부한 사업개발 경험과 엔지니어링 부서 등을 활용한 사업관리 역량을 결합하여 IPP 사업의 수익성을 높임
- (그룹역량) 내부 자원의 효율성을 극대화하기 위해 그룹사가 보유한 네트워크와 역량 등을 최대한 활용
- (전략) M&A, 신규 IPP 개발 사업, JV 등 다양한 전략을 자유롭게 활용할 수 있는 ‘전략적 유연성’이 수익성 확보와 고성장에 기여
○ 해외 IPP 사업이 지속 가능한 성장을 이루기 위해서는 이를 실행할 수 있는 역량 확보와 수익성을 중심으로 한 다양한 전략 마련 필요
- 사업역량을 단기간에 강화하기 위해서는 현재 국내에 해외 IPP 사업관련 전문 인력이 매우 드문 상황임을 고려해 해외 선진사의 PM급 인력 또는 10년 이상의 경력을 보유한 베테랑급 인력 확보도 검토가 필요함
- 수익성이 높은 자체 개발사업 발굴뿐만 아니라 적정한 가격의 IPP 사업이 시장에 매물로 나왔을 때 공격적으로 M&A를 추진할 수 있는 사전 준비와 실행력도 갖추고 있어야 함