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CVC: Corporate Venture Capital (기업벤처캐피탈)
경기침체 국면에도 불구하고 대기업 주도의 기업형 벤처캐피탈(CVC) 투자가 급증하고 있다.
GS 홈쇼핑의 사례를 통해 재무적 수익만 추구하는 벤처캐피탈과 달리 전략적 가치와 재무적 수익이라는 두마리 토끼를 쫒기 위한 CVC를 성공적으로 운영하기 위한 그라운드 룰을 제시해본다.
[목차]
1.급성장하는 글로벌 CVC 투자
2.스타트업 투자를 통한 혁신전략
3.GS홈쇼핑의 CVC 전략
4.CVC의 성공을 위한 Ground Rule
[Executive Summary]
○ 대기업 주도의 Corporate Venture Capital(이하 “CVC”) 투자가 급증하고 있으며, 경기정체에도 불구하고 지속적으로 증가할 전망
- 지난 40여 년간 세 번의 벤처투자 활황기와 침체기를 겪으며 위험자본에 대한 경험이 축적되면서 글로벌 벤처산업에서 CVC 투자 비중이 급증하고 있음
- CVC는 신기술 및 신시장 탐색을 통한 혁신과 기업가치 창출이라는 전략적 목적이 강해 단기 경기 변동의 영향이 적어 당분간 벤처캐피탈 내 비중이 계속 커질 것으로 전망됨
○ CVC는 기업의 혁신과 가치창출을 목적으로 하는 전통적 R&D를 보완하고 가속화하는 역할을 하며, 주로 스타트업 투자에 활용
- CVC는 업계 선두기업에 필요한 자기파괴적 혁신이나 새로운 성장기회 모색을 위해 산업 간 경계를 허무는 혁신에 적합한 도구로서 위상을 확보하고 있음
- 기업이 추구하는 혁신의 효과와 유형, 그리고 투자목적 및 투자대상과 모회사 간의 산업연관성 정도에 따라 CVC 활용범위 및 투자 포트폴리오 구성을 차별화하여 운영하는 전략이 효과적임
○ GS홈쇼핑은 CVC를 전략적으로 활용하여 ‘TV홈쇼핑사’에서 ‘모바일 커머스사’로 변신함으로써 레드오션을 벗어나 기업가치를 높인 성공적 사례
- CVC의 장점을 살려, 전통적 벤처캐피탈과 차별화된 투자결정 기준을 운영함
• 가능성 있는 투자 도메인 중심으로 지역별, 개발 스테이지별로 안배하여 투자포트폴리오를 결정
- 단순히 투자에 그치지 않고 외부의 혁신역량을 내부로 가져오기 위해 스타트업 혁신인력과의 관계구축을 위한 다양한 제도 도입하여 운영함
○ CVC의 성공적 운영을 위해 모기업 조직 내에 벤처투자 문화 및 마인드를 고취하고, 프로세스 구축 필요
- 투자대상의 라이프사이클을 고려하여 투자규모 및 단계를 평가하고, 높은 리스크 부담을 수용하는 분위기 조성 필요
- 업의 경계를 넘는 전략적 옵션 활용 등 불확실성하에서의 의사결정을 위해 사전적으로 투자의사결정 기준 확립
- 벤처투자 생태계 내에서의 네트워킹 강화와 조직 내 벤처투자팀과 사업부서 간 유기적 연계를 위한 절차 또는 제도 마련