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업들은 사업 타당성 및 투자 효율성 관점에서 합리적인 투자예산을 배분하고자 한다. 이를 위해서는 결국 투자사업별 우선순위 평가결과에 근거한 객관적이고 효과적인 예산배분이 이루어져야 할 것이다.이론 및 실무적 방법론을 토대로 기업의 합리적인 투자예산 배분 방향을 살펴보자.
[목차]
1. 검토 배경
2. 투자사업 평가에 대한 이론·실무적 접근
3. 합리적인 투자예산 배분 가이드
4. 종합 및 제언
[Executive Summary]
○ 기업 자원배분에 관한 이론에서는 중장기 전략목표 달성을 위한 투자예산 배분을 ‘사업부문별 배분’과 ‘개별사업단위 배분’으로 구분하고 있음
- 사업부문별 배분은 전사 비즈니스 포트폴리오 관점에서 매출 극대화, 신시장 개척 등 중기 그룹 경영목표와 전략방향에 따라 비즈니스 영역별 투자예산을 배분
- 개별사업단위 배분은 투자사업 타당성 관점에서 사전에 배분된 사업부문별 예산을 투자한도로 설정하고 개별사업에 대한 우선순위를 결정하여 예산을 배분
○ 합리적이고 효과적인 자원배분을 위해서는 결국 투자사업별 우선순위 평가결과에 근거한 예산배분이 이루어져야 할 것
- 일반적으로 사업부문별 투자예산은 중기 EBITDA를 중심으로 전사 투자예산한도를 설정하고 중장기 전략방향에 따라 비즈니스 영역별로 배분함
- 한편 실제 투자의사결정과정은 기대수익률, 시장점유율, 사업경험 등 다양한 요인들이 고려되나, 의사결정자의 개인적인 신뢰나 직감에 의존하는 경우도 빈번
- 따라서 배분된 사업부문별 예산한도 내에서 개별 투자사업을 선정하기 위해서는 다양한 투자의사결정 요인을 고려한 체계적인 투자우선순위 평가방법이 필요
○ 다양한 투자사업 평가 방법론에서는 경제적 요인과 전략적 요인에 해당하는 수익성, 산업매력도, 전략적합성, 역량, 외부변동성 관련 점검항목들을 검토
- 국내 유수기업들의 평가 방법론도 이론적 접근과 유사하나 기업의 특성과 여건에 적합한 점검항목들을 선정하고, 평가결과를 일반화하여 의사결정을 지원
○ 이론, 실무적 방법론을 토대로 투자사업 평가항목을 선정하고 객관적인 평가기준을 적용하여 투자사업 우선순위를 평가하는 합리적인 예산배분 방향 설정
• (1단계) 모든 투자사업에 적용 가능한 공통항목과 해외진출 시 국가/정치/경제 등 거시환경 및 현지 인프라/제도 항목, 합작투자 시 파트너사의 사업역량 및 운영계약 항목 등 다양한 유형의 투자사업을 점검할 수 있는 Framework 구축
• (2단계) 점검항목별 사업에 미치는 긍정적/부정적 영향 수준을 토대로 평가기준을 수립하고, 구체화된 평가기준은 투자관련 이해관계자 간 협의를 통해 확정
• (3단계) 항목별 평가 값을 표준화(1~5점 척도화)하고 전략방향과 연계한 가중치 를 적용하여 개별 투자사업의 최종 평가점수(100점 만점 기준)를 산출
• (4단계) 사업부문별 투자한도와 개별 투자사업 우선순위 평가결과에 따라 우선 추진사업을 선정하고 필요 시 부문별 예산조정을 통해 객관적으로 타당성이 높은 투자사업에 예산을 배분하는 합리적인 투자의사결정 프로세스 구현
○ 투자사업 평가 방법론에 따른 우선순위 선정 결과는 한정된 예산 내 사업 타당성이 높은 투자사업을 우선 추진하도록 선별하는 기준이자, 보수적인 가정 기반 경제성 검증 여부 등을 확인하는 사전 모니터링 도구로 활용 가능