코로나19와 더불어 4차산업혁명, 긱 이코노미(Gig Economy) 확산 등의 영향으로 일하는 방식이 전통적인 대면 방식에서 비대면 방식이 혼합된 하이브리드 형태로 진화하고 있다. 이러한 변화는 단순히 일하는 방식에 국한된 것이 아니라 이와 연관된 다른 분야에도 영향을 미친다. 그 중 가장 중요한 영역이 바로 리더십이다. 대면 상황을 전제로 한 리더십이 과연 비대면 상황에서도 동일하게 효과를 발휘할 것인가라는 의문에서 원격 리더십의 개념이 탄생했고, 이것이 최근 상황과 맞물려 관심을 받고 있다. 이번 호에서는 최근 부상하고 있는 원격 리더십에 대해 이야기해 본다.
[Executive Summary]
○ 코로나19 영향으로 재택과 사무실 근무를 혼합한 하이브리드 일하는 방식이 확산
- 대면과 비대면 일하는 방식이 공존함에 따라, 비대면 상황에서 리더의 역할에 관심이 집중되면서 원격 리더십 개념이 부상
○ 일반적으로 원격 리더십은 ‘구성원과 지속적인 대면접촉이 없는 비대면 상황에서 구성원의 성과를 관리하고 소속감을 유지하는 데 필요한 리더의 자질’로 정의
- 케빈 아이켄베리와 웨인 터멜은 원격 리더십 모델을 제시하며, 원격 리더십에서 가장 중요한 요인 중 하나가 IT 기반의 소통 스킬이라고 강조
○ 원격 리더십은 기존 서번트 및 공유 리더십 등 기존 리더십과 비교 시 다른 특징이 존재하지만 근본은 리더십임
- 테크놀로지 역량만 있고 리더십 역량이 없다면 원격 리더십이 발휘되기 힘듦
- 따라서, 원격 리더십을 잘 발휘하기 위해서는 리더십 역량이 기본이 되어야 함