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지난 2008년 12월 5일 국제거래소(ICE)는 석탄선물 계약을 상장했으며, 호주 증권거래소(ASX)도 2009년 3월까지 석탄선물을 상장할 계획
○ 세계 원유가격의 지표가 되는 브랜트유의 선물거래가 이뤄지고 있는 국제거래소에서 세계 최초로 아시아 시장의 석탄선물 계약을 상장하였고, 세계 10위의 호주 증권거래소에서도 곧 상장할 예정
○ 선물시장의 도입은 현물시장의 가격체계나 거래체계에 변화를 가져올 수 있어 이에 대한 대비가 필요
□ 현 석탄시장은 과거 어느 때보다 가격변동위험이 크고, 신규 석탄선물은 아시아의 현물시장 물량이 풍부하여 성공 가능성이 클 전망
○ 최근 석탄시장의 변동성이 커져 헤지수요와 투기수요를 유발하기에 충분한 가격변동위험을 보이고 있으며,
○ 현물시장의 규모가 전세계 물동량의 60% 이상을 차지하는 아시아 시장의 석탄을 대상으로 하여 충분한 거래 물량 확보가 가능하고,
○ 시장 균형을 인위적으로 방해할 정부의 개입이나 가격조작 가능성이 낮아 선물시장의 성공 가능성이 클 것으로 예상
□ 석탄선물 거래 상장의 성공은 기존의 가격결정방식이나 계약방식에 변화를 가져올 전망
○ 장기공급계약 유인 감소: 가격 예측력이 높아져 Spot 시장 구매비중이 증가하고, 공급가액도 상품 인도시점의 선물가격으로 결정될 가능성
○ 광산개발 프로젝트 증가: 선물시장을 통해 자금 및 수요처 확보가 용이해져 광산개발 프로젝트가 증가할 전망
□ 수요산업의 가격협상력 제고와 금융시장을 통한 금융수익 제고 및 적극적 자원개발 정책의 실행이 시급
○ 석탄구매가격 협상력 제고를 위해 석탄전문가를 내부적으로 양성하고, 선물거래 참여를 통한 이익 실현을 위한 내부 시스템 구축이 필요
○ 석탄자주개발률 향상을 위해 자원정책 추진 시, 석탄선물 거래가 성공적으로 정착되기 이전인 향후 2년~3년 내에 추진 실행 필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