연구는 산업별, 철강제품별 출하자료를 바탕으로 철강집약도 모형(intensity of use)을 적용하여 2006~2015년까지의 국내 강재 직소비량을 예측한 것이다. Roberts와 Crompton의 모형을 기초로, 본 예측에서는 경제내의 중장기적인 산업구조 변화와 산업내 철강소비구조 변화와 같은 질적 측면을 고려하기 위해 1) 각 철강수요산업별 생산에서의 철강집약도 변화, 2) 총 국내생산에서 해당산업의 비중변화, 3) GDP성장률 등을 동시에 고려하였다. 예측 결과, 한국의 최종수요자향 강재 직소비는 연평균 1.7%의 완만한 증가세를 보일 것으로 예측되었다. 이는 향후의 낮은 경제성장률이라는 경기적 측면 외에도 구조적으로 단위당 철강소비 집약도의 하락에 기인한 것으로 나타났다. 특히 산업별제품구조에도 구조적 변화가 예상되어, 각 수요산업 혹은 제품별로 소요되는 철강재의 구성도 고급화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키워드 : 철강집약도 모형, 철강소비 예측, 산업구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