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금의 중국 경제는 세계적으로 매우 중요한 위치에 있으며, 1992년 한 ․ 중 수교 이래 양국 경제의 상호의존관계가 갈수록 긴밀해 지고 있는 상황에서 한국 경제에도 다양한 경로를 통해 큰 영향을 미치고 있다. 이러한 상황에서, 본 논문에서는 통화량 증가는 물가만 상승시키며 총생산은 증가시키지 못한다는 새고전학파적 기대와, 통화량 증가는 총생산을 증가시킨다는 신케인지안적 기대에 대하여 합리적 기대가설과 효율적 기대가설을 수용하여, 통화량 변화에 대해 경제주체들이 합리적으로 기대를 한다면 경제주체들은 통화량 변화에 대해 즉각적으로 반응을 할 것이라는 가정 하에, 주가와 통화량을 포함한 거시경제변수들 사이에 공적분(cointegration)관계가 존재하는지를 검정 한 후, 공적분관계가 있다고 판정되는 경우 장기균형관계를 명시적으로 고려하는 적절한 벡터시계열모형, 즉 VECM(Vector Error Correction Models)을 이용하여 실증분석을 시행하고자하며, 또한 VECM에 의한 충격반응함수(impulse response function) 검정도 동시에 실시하였다. 검정 결과, 중국에서는 경제주체들의 통화량 변화에 대한 기대가 주식가격을 상승시킨다는 신케인지안적 기대가설의 의미가 적용됨을 알 수 있었다. 이론적으로 합리적 기대가설과 효율적 기대가설에 의해 장래에 대한 경제주체들의 기대가 주식가격에 영향을 미칠 수 있음에도 불구하고, 이에 대한 직접적이고 체계적인 분석이 이루어지지 않고 있으므로 본 논문에서와 같이 통화량의 변화에 대하여 기대설정의 개념을 도입한
연구는 중국 거시경제분석에 필요한 고찰이 될 수 있다.
키워드 : 중국경제, 기대가설, 통화량, 주식시장, 벡터오차수정모형